인터넷 속도가 갑자기 늦어졌을 때

어느 날 갑자기 유튜브 로딩이 너무 많은 시간이 걸렸다. fast.com에 연결해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 보니 2Mbps 정도 나왔다. 너무 늦었다. 통신사 문제가 아닐까 의심했다.

장애신고를 할려고 생각해보니 IPTV는 아무 문제가 없어 윈도 10 문제가 아닐가 싶어서 구글에서 네트워크 속도 저하를 검색해 봤지만 알려주는 방법들은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리부팅을 했지만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크롬을 실행해보니 정상적인 인터넷 속도가 나왔다.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에서만 늦었다. 민망하게도 문제는 엣지에서 VPN이 사용 중이었다. 얼마 전에 VPN 설정을 하고 잊어버렸던 것이었다.

VPN을 해제하니 정상속도인 220Mbps가 나왔다.

엣지 브라우저에 수직 탭이 생겼네요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가 좀 달라진 것 같아 자세히 보니 왼쪽에 ‘수직 탭’이 생겼네요(2021. 3. 10.). ‘수직 탭’ 최상단의 아이콘을 눌러 ‘수직 탭’을 없앨 수 있습니다.

요즘 모니터는 가로가 세로보다 길어 공간 활용 면에서 ‘수직 탭’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윈도 작업 표시줄도 세로(오른쪽)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종착지는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시놀로지 NAS를 구매하고 블로그를 운영하려고 워드프레스 패키지를 설치했다. 워드프레스 두 개를 운영하고 싶었으나 패키지로는 할 수 없어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최신 버전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

그러고 처음 시놀로지 패키지로 설치한 워드프레스가 최신 버전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최신 버전을 사용하려고 최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작성했던 포스트들을 이전했다.

두 개의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니 각종 플러그인들을 각 사이트에 설치하고 업데이트해야한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이때 워드프레스에 멀티사이트 기능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다.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는 ‘네트워크’라고 부르는 공통 관리 부분이 있고 처음 만든 사이트를 ‘메인’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플러그인 설치는 ‘네트워크’에서 한다. 사이트는 ‘네트워크’의 ‘사이트’ 메뉴에서 쉽게 추가할 수 있고 호스트 명도 변경할 수 있다. ‘메인’ 호스트명은 DB 테이블에서 바꿔야 한다.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는 하나의 루트(웹) 폴더를 이용(DB 테이블로 사이트와 자료 구분)하면서 서브디렉토리 방식이 아닌 서브도메인 방식으로 운영할 경우 원하는 수만큼 독립적인 호스트 명을 사용하는 사이트를 만들 수 있고 플러그인을 멀티사이트로 만든 모든 사이트에서 활용할 수 있어 좋다.

멀티사이트를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은 ‘네트워크’에서 설치하지만 설정은 각 사이트의 플러그인 메뉴에서 해야 한다. 구글 사이트킷이나 리디렉션 플러그인이 그 예이다.

현재 관리 편리성 때문에 워드프레스를 멀티사이트로 운영하고 있다. 워드프레스를 처음 설치하려는 분들은 멀티사이트로 시작하길 추천합니다.

멀티사이트로 시작하려면 워드프레스 처음 설치 후 /wp-config.php에서 /* That’s all, stop editing! Happy blogging./ (바로) 위에 아래 내용을 삽입하면 됩니다.

define('WP_ALLOW_MULTISITE', true);